클라우드 다양한 서비스
-가상서버
클라우드 서비스로 기본적으로 가상 서버, 가상 CPU의 성능과 메모리 용량을 사용용도와 시스템 규모에 맞게 선택
로드 밸런서 기능을 활용하면 가상 서버를 이중화 하거나 부하를 분산 할 수 있다.
스토리지 서비스는 가상서버와 함께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로 데이터,콘텐츠, 아카이브(보관), 백업(보호), 파일 서버의 사용 , 시스템 재해대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VPN망이나 전용선 등을 높은 보안 수준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가상 CPU의 성능 및 메모리 용량에 따라 가격이 정해져 있따.
가상서버 사용시
로드밸런서,오토스케일, 정기적인 스냅 샷
로드밸런서 : 하나의 리전 안에 있는 두 개의 존에 서버를 설치하여 부하를 분산하는 예
재해복구를 위해 서버를 지리적으로 떨어진 두 개의 존에 나누어 설치할 수 있다.
오토스케일 : 가상서버의 대수를 자동적으로 증감시킨다.
서버의 부하를 모니터링 하다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오토스케일 기능 동작 시켜
오토 스케일링 임계값, 생성할 가상 서버의 개수 하한선과 상한선 설정해 둔다.
스냅샷 : 가상 서버 디스크를 자동으로 백업한다. =>가상 서버별로 백업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데이터 아카이브(보관) 및 백업(보호) 파일 서버, 재해대책 등 서비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의 공유/저장용도로 사용
Amazon Web Service(AWS)가 제공하는 S3(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S3 :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저장/검색 삭제하는 저장소, 다수의 데이터 센터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 손실 예방
저장 용량 무제한, 사용한 용량만큼 요금 부과
Amazon S3 Glacier : 데이터의 읽기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떄문에 빈번하게 읽을 필요가 없는 장기보존용
디지털 정보의 저장 및 자기 테이프의 대체품
클라우드 네트워크 서비스
Amazon VPC(Virtual Private Cloud)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
AWS위에 가상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개인 클라우드 처럼 사용하는 서비스
VPC안에 임의의 사설 IP주소 범위를 설정하고, 서브넷에 가상 서버와 같은 리소스를 배치
프라이빗 IP주소가 할당된 네트워크에 가상 VPN 게이트웨이 제공
사내 네트워크에 있는 VPN게이트웨이와 IPSEC 암호화 통신 할 수 있으므로 거점과 거점을 인터넷 VPN연결
보안기능으로는 필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통신 차단
가상서버에 대한 접속제어가 가능
Amzon Route 53으로 대표되는 DNS서비스 공개용 DNS서버 운영하고 관리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OS나 미들웨어 클라우드 사업자가 관리하므로 사용자는 빠르게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가능
Amazon RDBMS : RDB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Amazon Redshift : 페타바이트(1000테라) 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Amazon DynamoDB : AWS가 독자 개발한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리프트 앤 시프트 지원하는 서비스
기업이 현재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하고자 할 떄
애플키에시션 단위의 이적 작업은 비교적 간단
기존의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호환성을 계씅성을 우선시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들어서 클라우드로 옮기고, 수시로 클라우드에 최적화해 나가는 전략
클라우드 ERP : 전사적 자원 관리
클라우드 데이터분석 서비스, IOT 서비스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 후에 새로운 지식을 창출
Google CIoud Platform은 테라바이트급/페타바이트급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 할 수있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버
CIoud Data flow : 배치데이터와 스트리밍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변환/분석/분류
CIoud Dataprep : 분석용 데이터를 준비하기 위한 가공 클리닝 서비스
IOT서비스
인터넷에 연결된 IOT가 가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한 후 분석하고 통제하기 위해 클라우드 제공
aws lot에서는 aws lot SiteWise로 수집하고 Amazon Timestream라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aws IOT events
디바이스로 이상 감지 등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하고 운용
클라우드 AI/기계학습 서비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기계를 학습, 클라우드 사업자가 미리 대량의 데이터로 학습을 시켜두고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
Amazon web services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언어번역, 대화형 인터페이스, 텍스트 음성 변환 , 이미지 동영상 분석, 자연언어 처리
Micro Soft Azure
음성을 텍스트로변환, 언어 번역, 대화형 인터페이스, 텍스트 음성 변환, 영상 분석, 자연어 처리
Google CIoud PIatform
음성을 텍스트로변환, 언어 번역, 대화형 인터페이스, 텍스트 음성 변환, 구인분석,이미지 분석, 자연어 처리
클라우드 이용한 시스템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하는 표준화된 서비스(기능)를 조합하는 개념
온프레미스 시스템에 비해 안정적인 운영기에 접어든 시점에 장애가 발생하기 쉽다.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문제없이 운영 할 수 있또록 설계하는 Design for Failure라는 사고방식 필요
클라우드 관리
-구성관리,성능관리,운영관리, 멀티클라우드 관리, 사용자 관리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를 실현하는 기술들 (0) | 2022.03.29 |
---|---|
클라우드 컴퓨팅 (0) | 2022.03.28 |
saas, Iaas, paas (0) | 202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