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서버

오현섭 2022. 3. 28. 18:49
반응형

서버의 역활

-서버와 산하의 컴퓨터, 연결하는 네트워크 기기로 구성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는 주역

-온라인 쇼핑 주문시스템, ATM시스템, 교통기관 시스템

이용형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여 처리하는 형태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PC같은 컴퓨터 요청에 대응해 수동적으로 처리

-서버에서 능동적으로 처리하는 형태

 서버가 산하 컴퓨터나 디바이스에 대해 능동적으로 처리한다.

-높은 성능을 활용하는 형태

 서버 자체가 고성능 하드웨어 특징을 살려 처리한다.

 

서버 한 대에 클라이언트 여러대, 공통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다.

-파일서버, 웹서버, 프린트 서버, IOT서버 등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는 형태

애플리케이션 시점

-입출력을 중요시하는 시스템

-집계나 분석을 중요시하는 시스템

 

서버와 PC의 차이점

서버는 24시간 가동하여 운용하며,멈출수 가 없다, 만약 서버가 정지해버리면 대상 업무나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 전체에 영향을 미침, 신뢰성이 높은 하드웨어로 구성, 높은 가용성

서버는 입력을 바탕으로 처리결과를 출력하며, 끊임없이 I/O를 실행하는 가운데 시스템 전체의 상황, 부하를 감시하고 나아가 자신의 성능을 발휘

 

서버OS

-WINDOWS서버(마이크로소프트) : WINDOWS PC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작, 기업이나 단체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이   미리 패키지

-LINUX(오픈소스 OS) : 명령프롬포트, GUI툴, 비교적 저렴하게 시스템 구축 가능

-UNIX(서버제조사들이 제공)

 

서버의 사양

 CPU수와 종류,메모리 용량, 내장 디스크 용량

 대형서버는 많은 전력을 필요, 사용자 수와 용도에 따라 다름

 

서버의 형태

-타워 : 데스크롭 PC와 같은 직육면체 형태

-랙 마운트 : 전용 랙에 한대 씩 설치하는 형태로 확장성과 내장애성이 뛰어나다. 숫자를 늘릴 수 있어 확장가능하고 장애에도 강화다.

-블레이드,고밀도 : 랙 마운트 파생형태로 대량으로 서버를 이용하는 데이터 센터용, 좁은 공간에 집중적으로 설치 가능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  (0) 2022.03.30
라우터  (0) 2022.03.28
LAN 과 WAN  (0) 2022.03.21
네트워크 구성  (0) 2022.03.21
프로토콜  (0) 2022.03.21